몽펠리에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펠리에 대학교는 1289년 교황 니콜라 4세의 교황 칙서에 의해 공식 설립된 프랑스의 유서 깊은 대학교이다. 자유 인문학부, 법학부, 의학부, 신학부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특히 현재까지 운영 중인 의학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의과대학으로 꼽힌다. 1793년 프랑스 혁명으로 폐지되었다가 재건되었으며, 1969년 세 개의 독립된 대학교로 분리되었다가 2015년 몽펠리에 1 대학교와 몽펠리에 2 대학교가 재통합되어 현재의 몽펠리에 대학교가 되었다. 몽펠리에 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학문적 성과를 보이며, 여러 국제 대학 평가에서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펠리에의 교육 - 에피텍
에피텍은 1999년 프랑스에서 설립되어 문제 해결 학습 방식으로 IT 전문 지식과 리더십, 혁신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사립 정보 기술 교육 기관으로, 프랑스 고등 교육부에서 인정하는 석사 학위에 상응하는 자격을 수여하며 전 세계적으로 캠퍼스와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있다.
몽펠리에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몽펠리에 대학교 |
원어 이름 | Université de Montpellier (프랑스어) |
![]() | |
설립일 | 1220년 |
유형 | 공립 |
위치 | 프랑스 몽펠리에 |
캠퍼스 | 도시/대학가 |
총장 | 필리프 오제 |
교직원 | 1,900명 |
학생수 | 41,000명 |
박사 과정 | 1,700명 |
웹사이트 | 몽펠리에 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
소속 | |
제휴 | 코임브라 그룹 |
2. 역사
몽펠리에 대학교는 중세 시대부터 이어져 온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며, 유럽 지성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몽펠리에 출신 교수들은 나폴레옹 법전 초안 작성에 참여했는데, 이 법전은 프랑스뿐만 아니라 나폴레옹의 영향을 받은 여러 지역에서 현대 법전의 기초가 되었다. 법학부는 1998년에 재편되었다.
1529년 노스트라다무스는 의학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몽펠리에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약제사로 일했던 사실이 발각되어 퇴학당했다. 퇴학 문서(BIU 몽펠리에, 등록 S 2 권 87)는 여전히 학부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프랑수아 라블레는 몽펠리에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으며, 그의 초상화는 교수 갤러리에 걸려 있다.
1593년에 설립된 몽펠리에 식물원은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원이다. 폴 조제프 바르테즈(1734–1806)가 발전시킨 생기론의 생물학적 이론이 바로 이 학교에서 시작되었다. 프랑스 혁명은 의학부 존속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1795년에는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주교 궁전으로 개조되어 의과대학을 수용했다. 1239년 이후 교수들의 초상화가 전시된 갤러리에는 라블레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페트라르카는 4년 동안 몽펠리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강사 중에는 프랑스의 필리프 4세의 재상인 노가레의 윌리엄, 교황 우르바노 5세가 된 기욤 드 그리모아르, 그리고 후에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가 된 페드로 데 루나가 있었다.
2. 1. 설립 이전
1289년 교황 니콜라 4세가 여러 학교들을 통합하여 대학으로 만들라는 교황 칙서를 발포하면서 몽펠리에 대학교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지만, 실제 역사는 이보다 훨씬 오래되었다.[3]자유 인문학부가 몽펠리에 인문학부로 발전하게 된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아마도 수사학 강사들을 중심으로 모인 갈리아-로마 학교의 직접적인 연장선상에 있었을 것이다.
1160년 볼로냐 대학교 법학부 출신인 플라켄티누스가 몽펠리에에 와서 법학을 가르쳤고 1192년에 사망하면서 법학부가 설립되었다.
의학부는 이슬람 스페인 의과대학에서 훈련을 받은 사람들에 의해 설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137년에도 몽펠리에에는 훌륭한 의사들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4]
2. 2. 중세 시대


몽펠리에 대학교는 1289년 교황 니콜라 4세가 여러 학교들을 통합하여 대학으로 만들라는 교황 칙서를 발포하면서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지만, 실제 역사는 이보다 훨씬 오래되었다.[3] 최초의 학칙은 1220년 콘라트 폰 우라흐에 의해 제정되었다.[3]
의학부는 1137년에도 훌륭한 의사들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래되었으며, 현재까지 운영 중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의과대학이다. 몽펠리에 영주 길렘 8세는 1181년 1월 법령을 통해 면허를 받은 의사라면 누구든지 몽펠리에에서 강의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지중해 전역에서 온 다양한 교사들이 강의를 할 수 있었다.[4] 1220년 교황 호노리우스 3세의 사절인 콘라트 폰 우라흐 추기경이 제정한 학칙은 1240년에 확인 및 확대되었으며, 마겔론 주교의 지휘 아래 있었지만, 상당한 자율성을 누렸다.
14세기 흑사병이 유행했을 때, 몽펠리에 대학교의 의사들은 갈레노스의 이론에 따라 흑사병이 몸의 모공으로 들어가는 유해 물질에 의해 발생한다고 주장하며 목욕을 반대했다.[5]
신학부는 수도원 강의에서 시작되었으며, 파도바의 안토니우스, 라몬 률, 도미니크회 소속의 트릴리아의 베르나르 등이 강의했다. 1350년 1월 프랑스의 장 2세의 편지를 통해 몽펠리에에 수도원과는 별도로 신학부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교황 마르티노 5세는 1421년 12월 17일자 교황 칙서를 통해 신학부에 교회법적 제도를 부여하고 법학부와 긴밀하게 통합했다.
2. 3. 근대
16세기에는 칼뱅주의가 득세하면서 가톨릭 신학부가 잠시 중단되었다가, 1622년에 다시 부활했다. 그러나 도미니크회와 예수회의 경쟁으로 인해 학부의 번영은 순탄치 않았으며, 결국 프랑스 혁명과 함께 사라졌다.[3]1593년에는 몽펠리에 식물원이 설립되었는데, 이는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원이다. 이 식물원은 폴 조제프 바르테즈(1734–1806)가 발전시킨 생기론의 생물학적 이론이 시작된 곳이기도 하다.
프랑수아 라블레는 몽펠리에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으며, 그의 초상화는 교수 갤러리에 걸려 있다. 노스트라다무스는 의학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몽펠리에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약제사로 일했던 사실이 발각되어 퇴학당했다. 그의 퇴학 문서는 여전히 학부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3]
2. 4. 현대
1793년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다른 프랑스 지방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몽펠리에 대학교도 폐지되었다. 1810년에 인문학부와 문학부가, 1880년에 법학부가 다시 설립되었다.1968년 5월, 전국적인 학생 봉기 이후 1969년에 몽펠리에 대학교는 세 개의 대학교로 분리되었다.
- 몽펠리에 1 대학교: 의학, 법학, 경제학부
- 몽펠리에 2 대학교: 과학 및 기술
- 폴 발레리 몽펠리에 3 대학교: 사회 과학, 인문학 및 인문학
2015년 1월 1일, 몽펠리에 1 대학교와 몽펠리에 2 대학교가 통합되어 현재의 몽펠리에 대학교가 되었다.[2][3] 폴 발레리 몽펠리에 3 대학교는 현재 폴 발레리 대학교로 남아 별도의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3. 캠퍼스
몽펠리에 대학교는 몽펠리에 시내와 주변 지역에 여러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각 캠퍼스는 몽펠리에 트램으로 연결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다. 몽펠리에 시내에는 리히터, 시내 중심, 스타드 필리피데스, 부토네, 트리오레, 시 북쪽, 생-프리에스트, 유로메데신 캠퍼스가 있으며, 주변 지역에는 님, 베지에, 세트, 페르피냥, 카르카손, 망드, 알바레-생트-마리에 분교가 있다.
몽펠리에 식물원은 1593년에 설치된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원이다.[6] 몽펠리에 대학교 야구 클럽은 현재 디비시옹 앙 (야구)에 소속되어 있다.
3. 1. 몽펠리에 시내 캠퍼스
- 시 남쪽의 '''리히터''' 캠퍼스는 1호선 트램의 ''포르-마리안'' 및 ''리브 뒤 레'' 역에서 연결되며, 경제학부, 경영학을 전공할 수 있는 몽펠리에 경영대학, 몽펠리에 일반 행정 준비원(IPAG) 및 학생회관 "Aimé-Schonenig"이 있다.[6]
- '''시내 중심'''에는 ''루이 블랑'' 및 ''알베르 1세 광장 - 대성당'' 역이 있으며, 법학 및 정치학부, 의학부의 역사적인 건물, 식물원, 대학교의 의학 및 행정 서비스를 수용하는 생물학 연구소, 앙리 4세 거리에 위치한 행정 건물, 그리고 옛 식물학 연구소의 오귀스트-브루소네 거리에 위치한 대학교 총장단이 있다.
- ''스타드 필리피데스'' 역은 마르셀-고데쇼 광장에 위치한 교육학부와 대학교 소유의 스타드 필리피데스를 연결한다.
- 더 북쪽, '''부토네''' 지구에는 ''보이에 도미티엔''과 샤를-플로 거리가 교차하는 4헥타르 규모의 캠퍼스에 약학부가 있으며, 부토네 정류장에서 연결된다.
- 더 북쪽에는 30헥타르 규모의 대형 '''트리오레''' 캠퍼스가 있으며, ''과학 및 문학 대학교'' 역에서 연결되며, 과학부, IAE, ENSCM 및 몽펠리에 폴리텍이 있다.
- '''시 북쪽'''의 병원 지구에는 ''옥시타니'' 역이 9헥타르 규모의 캠퍼스(옥시타니 가)에 위치한 몽펠리에 IUT, 의학 교육 유닛(UPM) 및 아르노 드 빌뇌브 병원 근처에 있는 의학부의 새로운 캠퍼스, 베라시 지역(피크-생-루 대로)에 위치한 UFR STAPS[7] 및 연구 실험실(임상 연구 대학교, 기능 유전체학 연구소, 인간 유전학 연구소 등)이 있다.
- '''생-프리에스트 캠퍼스'''(생-프리에스트 거리, 아다 거리, 갈레라 거리)는 ''샤토 도'' 트램 정류장에서 연결되며, 과학부의 많은 과학 연구 실험실(전자 및 시스템 연구소, 몽펠리에 컴퓨터 과학, 로봇 공학 및 마이크로 전자 공학 연구소, 기계 및 토목 공학 연구소 등)이 있다.
- 몽펠리에 최북단, '''유로메데신''' 지구의 ''오 드 마산'' 역은 치과대학(도크토르-장-루이-비알라 거리)을 연결한다.
3. 2. 주변 지역 캠퍼스
님에는 님 IUT(생-세제르 지구), 의학부 분교(카레모 지구) 및 교육학부 분교가 있다.[6] 베지에에는 베지에 IUT,[6] 세트에는 몽펠리에 IUT 분교,[6] 페르피냥, 카르카손, 망드에는 교육학부 분교,[6] 알바레-생트-마리(로제르)에는 ISEM 분교가 있다.[6]4. 조직 및 운영
몽펠리에 대학교는 17개의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다.[8]
종류 | 명칭 |
---|---|
학부 (8개) | 교육 및 연구 부서 |
연구소 (7개) | |
스쿨 (2개) | |
설립-구성 요소 (1개) | ENSCM |
- 운영 위원회
- 학술 위원회 (80명의 선출된 위원으로 구성되며, 각 40명으로 구성된 연구 위원회, 교육 및 대학 생활 위원회로 나뉜다.)
- 기술 위원회
- 합동 학교 위원회
- 건강, 안전 및 작업 조건 위원회
5. 학문적 성과
몽펠리에 대학교는 여러 세계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상하이 교통대학 세계 대학 학술 순위 2018년 학문 분야별 순위에서 생태학 분야 세계 1위를 차지하는 등 특정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19][20]
5. 1. 입학
2019년, 몽펠리에 대학교는 학부 과정 입학 정원 6,961명에 50,069건의 지원서를 받아 7.19: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10]5. 2. 순위 및 평판
몽펠리에 대학교는 여러 세계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상하이 교통대학 세계 대학 학술 순위 2018년 학문 분야별 순위에서 생태학 분야 세계 1위를 차지하는 등 특정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19][20]5. 2. 1. 종합 순위
5. 2. 2. 분야별 순위
몽펠리에 대학교 학부 법학 프로그램은 에듀니버설에서 2016/17년 프랑스 6위(별 3개)를 받았다.[24]몽펠리에 대학교는 상하이 교통대학 세계 대학 학술 순위 2018년 학문 분야별 순위에서 생태학 분야 세계 1위를 차지했다.
5. 3. 협력 및 회원
코임브라 그룹[25]과 지중해 대학교 연합의 회원이며, 유럽 대학교 연합 CHARM-EU의 창립 멤버이기도 하다.[26]2024년 6월 19일, Udice 그룹의 회원으로 가입되었다.
6. 학생 생활
몽펠리에 대학교의 학생 생활은 학생들이 직접 운영하는 학생 생활 사무국(SLO), 리히터 및 트리올레 캠퍼스에 위치한 두 개의 학생 센터(MdE)와 (S)pace, 그리고 인도주의적 활동, 스포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약 140개의 동아리에 의해 운영된다.[27]
7. 저명한 인물
다음은 몽펠리에 대학교의 저명한 인물 목록이다.
7. 1. 교수진
이름 | 학과 | 기타 |
---|---|---|
장-앙투안 샤프탈 | 수학 | 1789년부터 학과장[28] |
장 아스트뤼크 | 해부학 | 1706년부터 학과장[28] |
프랑수아 부아시에 드 소바주 드 라 크루아 | 식물학 | 1740년부터 학과장[28] |
앙투안 구앙 | 식물학 | 1765년부터 학과장[28] |
피에르 마뇰 | 식물학 | 1694년부터 교수 및 왕립 식물원 원장[28]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 수학 | 필즈상 1966년 수상, 1973년부터 1988년까지 교수[29] |
프랑수아 보아시에 드 소바주 드 라 크로아 | 의학, 식물학 | |
쥘 에밀 플랑숑 | 식물학 | |
앙투안 구앙 | 박물학 | 프랑스에서 린네의 분류법 선구자 |
피에르 리셰 드 벨발 | 의학, 식물학 | 몽펠리에 식물원 창립자 |
피에르 마리 오귀스트 부르소네 | 의학, 박물학, 어류학 | |
에두아르 샤통 | 동물학, 해양 생물학 | |
쥘 드 세인 | 식물학 | 프랑스 식물학회 전 회장 |
알렉상드르 그로텐디크 | 수학 |
7. 2. 동문
- 오귀스트 콩트, 프랑스 철학자[33]
-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이탈리아 학자이자 시인, 르네상스 이탈리아 시대의 인물로, 인문주의의 창시자로 널리 여겨짐[33]
- 아말리쿠스 오제리, 14세기 교회 역사가[33]
- 프랑수아 라블레, 인문주의 작가[33]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세기 수학자, 필즈상 수상자[33]
- 엔베르 호자, 1944년부터 1985년 사망할 때까지 알바니아의 공산 독재자[33]
- 타하 후세인,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이집트 작가 중 한 명[33]
- 알리 아부 엘-포토, 19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이집트 경제학자 중 한 명[33]
- 알베르 자피, 1993~96년 마다가스카르 대통령[33]
- 키우 삼판, 폴 포트의 크메르 루주 정권 하에서 캄보디아 국가 원수[33]
- 미셸 드 노스트라담 (노스트라다무스), 프랑스 약제사이자 예언자, 그의 저서 ''예언''으로 가장 잘 알려짐[33]
- 라자 라오, 1988년 노이슈타트 문학상을 수상한 영어권 인도 작가 3인 중 한 명[33]
-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 그리스 학자이자 그리스 계몽주의의 주요 인물[33]
- 사흘레-워크 제우데, 에티오피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현재 에티오피아 대통령이며, 이 직책을 맡은 최초의 여성[33]
- 모헤드 알트라드, 시리아 출생 프랑스 억만장자 사업가, 럭비 회장 겸 작가[33]
-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 동물 해부학이 아닌 인간 해부학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의학 해부학 서적인 "인체의 구조(Corporis Fabrica Libri Septem)" 저술[33]
- 에드워드 아담, 19세기 화학자로 증류주 증류 개선 방법을 발명[33]
- 리 지에런, 20세기 중국의 저명한 작가이자 번역가로, 1922~1924년 몽펠리에에서 문학 연구[33]
- 스정리, 바이러스학자이자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신종 감염병 센터 소장[33]
- 기욤 드 노가레 - 법학부, 대법관[33]
- 프랑수아 라블레 - 의사 면허와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교편도 잡았다. 1239년 이후의 의학부 교수 초상화 갤러리에는 그의 초상화도 포함되어 있다.[33]
-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 - 법학부[33]
- 미셸 드 노스트라담 - 의학부 (입학 기록은 있으나, 정설화된 박사 학위 취득이나 교수 취임은 현재 자료적 근거가 없음), 예언자[33]
- 리샤르 루사 - 의학부, 의사, 서양 점성술사[33]
- 기욤 롱드레 - 해부학자, 박물학자[33]
- 프랑수아 보아시에 드 소바주 드 라 크로아 - 의사, 식물학자[33]
- 쥘 에밀 플랑숑 - 식물학자[33]
- 앙투안 구앙 - 박물학자, 프랑스에서 린네의 분류법 선구자[33]
- 피에르 리셰 드 벨발 - 의사, 식물학자, 몽펠리에 식물원 창립자[33]
- 피에르 마리 오귀스트 부르소네 - 의사, 박물학자, 어류학자[33]
- 에두아르 샤통 - 동물학자, 해양 생물학자[33]
- 쥘 드 세인 - 식물학자, 프랑스 식물학회 전 회장[33]
-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 법학부[33]
- 폴 발레리 - 법학부, 소설가, 몽펠리에 제3대학교의 별칭 "폴 발레리 대학교"의 유래[33]
- 장 자크 레지 드 캉바세레스 - 법학부 졸업, 나폴레옹 법전 기안자 (cf: 민법전 논쟁)[33]
- 장 에티엔 드미니크 에스키롤 - 정신의학자. 툴루즈 대학교 부속 콜레주 드 레스킬 에서 배우고 몽펠리에 대학교 의학부로 옮김. 파리의 살페트리에르 병원에서 필리프 피넬에게 사사.[33]
- 알렉상드르 그로텐디크 - 수학자[33]
- 레니에 3세 - 교양학부, 모나코 공국대공[33]
- 장 물랭 - 법학부, 레지스탕스 활동가, 정치인[33]
- 엘리자베트 기구 - 문학부 졸업, 정치인[33]
- 이치카와 신이치 - 문학부, 프랑스 문학자, 와세다 대학 명예 교수[33]
- 다카하시 후미아키 - 일본 외교관[33]
- 하야시 히데히코 - 각본가[33]
- 오기노 마사히로 - 문학부, 사회학자, 간사이 가쿠인 대학 교수[33]
- 야마카와 히로시 - 의학부, 게이오기주쿠 대학 의학부 객원 부교수, 일불 의학회 사무국장[33]
7. 3. 한국과의 관계
몽펠리에 대학교는 현재 한국 대학과의 학생 교류 협정을 맺고 있지 않다. 하위 섹션에 협정 대학 목록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몽펠리에 대학교가 아닌 다른 대학과의 협정 내용이므로 이 섹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7. 3. 1. 학생 교류 협정 대학
- 도호쿠 대학
- 군마 대학
- 도쿄 농공 대학
- 호쿠리쿠 첨단 과학 기술 대학원 대학
- 교토부립 의과 대학
- 오사카 공업 대학
- 고베 대학
- 간세이 가쿠인 대학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y of Montpellier Booklet
http://www.umontpell[...]
Umontpellier.fr
2015-10-14
[2]
웹사이트
L'université de Montpellier à l'épreuve de la fusion - Journal La Marseillaise
http://www.lamarseil[...]
Lamarseillaise.fr
2015-10-14
[3]
웹사이트
Université de Montpellier » Histoire de l'Université
http://www.umontpell[...]
Umontpellier.fr
2015-10-14
[4]
서적
"Mélanges d'histoire de la médecine hébraïque"
https://books.google[...]
BRILL
2002
[5]
서적
Black Death - Robert S. Gottfried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015-10-14
[6]
웹사이트
Student houses and (S)pace, University of Montpellier
https://www.umontpel[...]
[7]
웹사이트
Facul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Physical and Sports Activities (STAPS), University of Montpellier
https://www.umontpel[...]
[8]
웹사이트
Faculties, schools and institutes, University of Montpellier
https://www.umontpel[...]
[9]
웹사이트
Boards and committees, University of Montpellier
https://www.umontpel[...]
[10]
뉴스
Le classement des 20 universités les plus demandées sur Parcoursup
https://etudiant.lef[...]
2022-08-01
[11]
웹사이트
ARWU ranking 2023
http://www.shanghair[...]
[12]
웹사이트
CWTS Leiden Ranking 2023
https://www.leidenra[...]
2023-07-10
[13]
웹사이트
Reuters World's Top 100 Innovative Universities 2019
https://www.reuters.[...]
2021-02-25
[14]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Montpellier University
https://www.timeshig[...]
[15]
웹사이트
QS ranking 2024
https://www.topunive[...]
[16]
웹사이트
U.S. News Education: Best Global Universities: Universite de Montpellier
https://www.usnews.c[...]
2024-02-25
[17]
웹사이트
University Ranking by Academic Performance
https://urapcenter.o[...]
2022-08-24
[18]
웹사이트
Performance Ranking of Scientific Papers for World Universities or NTU Ranking
http://nturanking.cs[...]
2023-07-15
[19]
뉴스
Reuters Top 100: The World'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 2018
https://www.reuters.[...]
2019-11-20
[20]
뉴스
Reuters Top 100: Europe'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 2018
https://www.reuters.[...]
2019-11-20
[21]
뉴스
Times Higher Education Impact Rankings 2022
https://www.timeshig[...]
2022-10-10
[22]
뉴스
URAP World Ranking 2021-2022
https://urapcenter.o[...]
2022-08-22
[23]
웹사이트
Performance Ranking of Scientific Papers for World Universities or NTU Ranking
http://nturanking.cs[...]
2023-07-15
[24]
웹사이트
Eduniversal law undergraduate Ranking
http://www.meilleure[...]
[25]
웹사이트
Coimbra Group official website
https://www.coimbra-[...]
[26]
웹사이트
CHARM-EU official website
https://www.charm-eu[...]
[27]
웹사이트
Student Life Office, University of Montpellier
https://www.umontpel[...]
[28]
간행물
Scholars and Literati at the University of Montpellier (1706-1793)
https://ojs.uclouvai[...]
[29]
웹사이트
Who is Alexander Grothendieck? Anarchy, Mathematics, Spirituality, Solitude
https://webusers.imj[...]
[30]
웹사이트
赤﨑 眞耶 (Maya Akazaki) - ポール・ヴァレリー(モンペリエ第三)大学 博士後期課程 - 学歴 - researchmap
https://researchmap.[...]
2022-08-11
[31]
웹사이트
"「刑務所に入る覚悟」 菜食主義者による襲撃相次ぐ フランス"
https://www.afpbb.co[...]
2022-08-11
[32]
웹사이트
モンペリエ {{!}} フランス留学センター
https://fra-ryugaku.[...]
2022-08-11
[33]
뉴스
慶應義塾大学医学部客員助教授の山川弘氏が7月6日、クリスチャン・マセ駐日大使より、国家功労勲章オフィシエに叙されました。
https://jp.ambafranc[...]
駐日フランス大使館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